티스토리 뷰

우리가 일을 하거나 사업을 하며 소득을 벌고 있습니다. 주택청약을 하게되면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이 기준이 되는 사항이 있어서 항상 숙지를 하고 있어야 합니다. 가구당 얼마의 소득을 이루고 있는지 비교도 해볼 수 있어서 확인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주택을 청약하는 분이라면 중요한 기준이 되니 꼭 알아둡시다.

소득 기준을 정하는 요소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중위소득

국내에서는 도시근로자의 월평균소득이나 중위 소득 %를 기준으로 소득의 기준을 나누고 있습니다. 가구마다 벌어들이는 수입이 다르고 일하는 사람도 다르기때문에 높고 낮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기준으로삼아 소득이 적은 사람들에게 주택 청약의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국가통계를 볼 수 있는 kosis.kr에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국내 인구나 수명, 출산율, 물가의 수치를 보실수 있습니다. 정보가 너무 많아서 찾기 어려워 통합검색을 하는 방식을 추천드립니다. 통합검색창에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을 입력하니 큰 화면에 금액이 표시되어 나옵니다. 자신의 소득은 본인이 더 잘알고 있으니 비교를 해보면 됩니다. 잘 모르시면 홈택스 민원증명에 소득금액증명이나 회사에 요청을 하여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kosis에서 공개된 2021년 4분기와 2022년 1분기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이 표로 정렬되어 나옵니다. 전체가구와 근로자, 근로자외로 구분되어 있고 다른 내역도 보실수 있습니다. 청약이 필요한 소득에 대한 내용만 파악해두셔도 충분하니 틈틈히 들어가 알고 있다면 당첨확률이 올라갑니다.

지역별 인구도 옆에 폴더를 선택하여 조사를 할 수 있습니다. 청약을 할때 필요한 가구당 월평균 소득을 조회해봤습니다. 다른 사람과 비교한다고 해서 크게 삶이 달라지지 않지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분양에서 이를 놓쳐서는 안되겠습니다.

 

댓글